하기 내용은 네이버 블로그에서 가져온 내용입니다.

https://blog.naver.com/imagecorrelation/222456020741

아래 내용은 ARAMIS SW 또는 Gom Correlate SW 사용하는 방법을 전체적으로 설명하는 목차입니다.

Digital Image Correlation(디지털 영상 상관 기법)은 시편 또는 구조물의 변형전과 변형후의 이미지를 비교하여 전체 영역의 변위/변형률을 측정하는 기법입니다.

  • Digital Image Correlation 소개
  • DIC 변위 및 변형률 계산
  • DIC 변형률 측정 vs Strain Gauge 측정 결과 비교
  • DIC를 이용한 3차원 형상 측정

 

ARAMIS SW 및 HW 설치 방법 (SW 및 HW 설치 방법)

 

SW 업데이트 내용 정리

- Gom 2021 한글화 및 시작 페이지 변경 (Gom Correlate, Gom Snap 2D)

 

What's New for new version

  • What's New in ZIESS Quality Software 2022 (Gom Correlate)

 

ARAMIS 2D 시스템 HW 및 SW 후처리
  • 2D-DIC 시스템 소개
  • 2D-DIC 실험준비 및 측정
  • 변형률 측정 등 데이터 후처리
  • DIC 데이터와 인장 시험기 데이터 동기화
  • 2D 시스템 사용 주의 점 

 

2D DIC 확장 편

  • 2D-DIC 소면적 측정 방법( 35x20 ~ 10x8 mm)
  • Micro 2D-DIC 소면적 측정 방법(5mm 이하)
  • 현미경을 이용한 2D-DIC 측정
  • FIB를 이용한 잔유응력 측정
  • 초고속 Micro 2D-DIC
  • 3D-DIC를 2D-DIC로 사용하기

 

 

ARAMIS 3D 시스템 HW 교정 방법

 

3D-DIC 시스템은 사용하기 앞서 무조건 3차원 교정을 해야합니다.

교정면적 결정->카메라 위치 조정 -> 조리개 개방+초점조절 -> 조리개 조절->교정->편광필터 조정

 

  • ARAMIS 3차원 교정 방법 소개
  • ARAMIS 시스템 교정 면적 계산 어플
  • 3차원 교정 - 카메라 조정편
  • SW에서 교정기구를 사용하여 교정 하기
  • 교정 Truouble Shooting (자주 발생하는 문제)

 

  • ARAMIS 시스템 하드웨어 소개(전체)
  • ARAMIS 하드웨어소개 - 조리개 편
  • Sensor format, Sensor Size, Image Circle 관계
  • 스마트폰 카메라 VS DSLR VS 비전카메라 - 어떤 것이 DIC에 더 적합할가?
일반적 데이터 후처리 방법

일반적 DIC 사용 방법은

교정 -> 측정 -> Component 생성 -> 좌표 설정 -> RMBC -> 영역 데이터 -> 리포트

 

랜덤 패턴 제작 (스프레이)
  • 측정을 위한 패턴 제작 기법 - 상온 일반 사이즈
  • 측정을 위한 패턴 제작 기법 - 고온 일반 사이즈 (상온 ~ 900도 까지)
  • 특수 패턴 제작 법 - 백색 스프레이만 사용 (백색 패턴)

 

측정
  • 측정(촬영) 방법 (일반, 일정한 시간 간격에 따라 측정하기)
  • 측정(촬영) 방법 (고급, 트리거 사용 등)
  • 이미지 사이즈에 따른 촬영 속도 설정
  • Script를 사용하여 측정하기(장시간, 무한)
  • ARAMIS SW - 30초, 60초 측정 딜레이 만들기 (무한 측정)
  • 고속으로 촬영하기 (Binning Mode 등)

 

Component 생성
  • Surface Component 만들기
  • ARAMIS - 강제로 Start point 만들기

 

기타 Component(extensometer, facet point 등)
  • Facet Point 해석 기법
  • Extensometer 사용하기
  • Extensometer 를 사용할 때 True strain으로 변경하기

 

좌표 설정
  • ARAMIS SW에서 3-2-1 기법으로 정렬하는 방법
  • ARAMIS SW에서 원기둥 좌표계 정렬

 

Rigid Body Motion Compensatioin(강체운동 제거)
  • 강체운동 제거 방법

 

영역 데이터
  • Digital Image Correlation - 전체 영역의 변형률 계산 방법
  • 전체 영역의 변형률 속도 구하기
  • 일정한 영역의 평균값 구하기
  • ARAMIS - Section 데이터 출력하기
  • DIC - 두 Section의 거리의 변화 측정 방법
  • 등간격 포인트의 데이터 출력

 

리포트
  • ARAMIS - Report 기능 - 소개
  • ARAMIS Report - 이미지 내보내기
  • Report 그래프 내보내기
  • ARAMIS - Report - 동영상 내보내기
  • DIC를 이용한 전체 영역의 데이터 출력 방법

 

기타 내용:

- SW에서 교정정보 입력하는 방법

인장실험 데이터 후처리 기법

DIC로 인장실험을 했을 때 데이터 후처리 방법, E, v, R, N 등 상수 계산 방법

인장실험에서 데이터 취득 방법 소개

 

  • DIC을 이용한 Stress vs Strain Curve를 측정하는 방법 - V1 수동 측정 - 공칭
  • DIC을 이용한 True Stress vs True Strain Curve를 측정하는 방법 - 수동 측정
  • Digital Image Correlation을 이용한 포아송비 측정 (Poisson's Ratio)
  • 소성상수 R 값 측정(r-value)
  • 소성상수 R 값 측정(r-value) - V2
  • 소성상수 R 값 측정(r-value) - V3 유료버전만 가능함
  • ARAMIS를 이용한 n-value 계산하기

 

인장실험 부가 기능:

  • ARAMIS - DIC를 이용한 Necking 시작 지점 찾기 using Shear Band
  • 인장시험 데이터로 탄성계수 계산하기 ( Script 버전)
  • 인장실험 데이터로 간단하게 탄성계수 계산하기(Excel 버전)
  • Load/온도 등 시험기 데이터 입력 방법
  • Load 데이터 입력 방법 2 - HW 동기화

 

기타:

  • Local Engineering Stress VS True Stress VS True Stress from DIC - 비교
  • 봉상 시편의 2D-DIC vs 3D-DIC 데이터 비교
  • 봉상(실린더형) 시편 데이터 후처리 - 포아송비 (cylinder specimen)
  • 실린더/봉상/원통 시편 좌표축 설정 방법
FLC 및 Bulge Test 후처리 기법

두 시험에서 얻는 결과는 다르지만, 측정 기기와 방법에 있어서 유사한 부분이 많아서 하나의 카테고리에서 설명한다.

  • FLC 시험 및 데이터 후처리 순서
  • Bulge 시험 후처리 순서
  • Hole Expansion Test
PONTOS - 포인트 추적 해석

 

Reference Point 기반 해석 기능 모음
  • ARAMIS - Point based anaysis - 포인트 추적 - Component 만들기
  • 포인트 추적 - PONTOS - Component 여러개 만들기
  • 포인트 추적 분석 - Point Base Anaysis - 변위, 각도변화
  • Point Component -> Surface Component 변환
  • PONTOS - 포인트 인식이 어려울 때 추가로 찾을 수 있는 방법
  • 측정 포인트의 좌표축 기준 위치 얻는 방법

 

Touch Probe를 이용한 측정 방법 및 사례
  • Touch Probe 교정 방법
  • ARAMIS 시스템에서 Touch Probe 사용하기 - (숨겨진 포인트의 변위 측정)

 

열팽창, Warpage 등
  • 반도체에서 Warpage 및 열팽창 계수 측정하는 원인
  • ARAMIS 사용한 열팽창 계수 측정 - 후처리 방법
  • DIC를 이용한 Warpage 측정 방법 및 비교
  • DIC를 이용한 Warpage 측정 - 2탄
  • DIC를 이용한 Warpage 측정 - 3탄 - package를 활용하자
  • ATOS(Fringe Projection)을 이용한 측정 방법
  • Warpage 측정 방법 비교 (DIC VS Fringe Projection)
  • 점사이 길이 VS 곡선 VS 면 평균을 이용한 변형률 측정 차이점
기타 기능
  • Gom 2020~ 에서 Package 사용 방법
  • ARAMIS 측정 결과 스케일 업 하기
  • V6 버전 데이터를 V2016~ 으로 불러오기
  • GOM 프로그램 사용 팀 - 편의기능 모음 HOT KEY 모음
  • ARAMIS - Component의 면적을 측정하기 (면적변화)
  • Bluge Test - 면외 변위 측정 영역 벗어난 데이터 계산하기
  • 측정 데이터 용량 줄이기 방법
  • 변형률 방향 표시/Strain Direction
  • 온도 트리거(설정 온도에 촬영하기)
  • ARAMIS SW - Section Data 결과 한 그래프에서 보기
  • SW의 기본 단위 및 소수점 자릿수 변경하기
  • User define value (Extensometer 를 사용할 때 True strain으로 변경하기)
  • 전체 영역의 데이터를 출력하는 방법
  • DIC를 사용하기 위한 최적화 패턴
  • ARAMIS 데이터 후처리 용 PC 사양 추천
Script 기능
  • Script Import and Export 방법
  • Section Data를 하나의 CSV 파일로 출력하기 (python 이용)
  • V6버전 프로젝트를 V2016~ 이상으로 변환하는 Script (대량변환)
  • 변형률 - Facet Size - Distance(Step) 관계 확인 방법
  • 대량 프로젝트를 한번에 계산하는 Script
  • Gom SW 2022에서 Script 환경(python wheels) 설치하는 방법
  • Gom SW에서 자주 사용하는 Python code

 

 

Troubleshooting (간단 문제 해결)

 

  • ARAMIS 카메라 연결이 안 될 때 조치 사항
  • Script를 이용한 Single Snap 오류 해결 방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