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위를 받을 때 실험 및 논문 만큼 열심히 했던 작업이 ANSYS 및 ABQUS를 사용한 구조해석
이들은 공학해석 프로그램이며 기초적인 실험을 통하여 얻은 물성을 사용하여 원하는 구조물의 실험결과를 해석으로 얻을 수 있다. 문장 뜻으로 봤을 때 엄청 거창하지만 실제 해보면 노가다와 별반 차이가 없다. 다만, 노력한다고 무조건 되는 것이 아니라는 것이다. 나한테는 해석이 어려운 일이 였다.
학생 때 자습한 야박한 지식으로 현장에서 어려운 구조해석을 하려고 하니 쉽지 않았다.
Applications
재료 물성 해석
구조해석
폭파
전자기파
열변형/열전달
유체
건축, 토목 (이 분야는 한국 SW가 세계 제일인 것으로 알고 있음)
성형
등등
세분화된 분야는 더욱 많다.
요즘은 어떻게 할가?
최근 ANSYS 카페에 가봤는데, 재미 있는 내용이 많았다. (어려운 내용.....)
그러나 물음을 제기하는 분은 초보의 티가 좀 난 듯... 그럼 언제까지 초보이고 언제부터는 고수 일가?
아는 교수님한테서 들은 얘기인에, 지금 해석프로그램은 MESH 작업이 없어도 가능하다고 한다.
(프로그램이 알아서 MESH 작업을 한다는 뜻)
이와 연관된 세미나를 다니면 좀 더 알수 있을 텐데 말이다.
ChatGPT는 어떻게 해줄수 있는게 없을가?
그러다가 갑자기 생각나는 질문이다. 일반적인 프로그램은 ChatGPT가 다 해준다는데....
그러면 ChatGPT는 구조해석도 가능할가?
글로 설명하면 해석 Code를 만들어 줄가?
가능하다고 답한다.
사실 ANSYS 해석을 모두 CODE화 할 수 있다.
! ANSYS APDL Beam Bending Test Example
/PREP7
! Geometry 및 Material 속성 설정
ET, 1, BEAM188 ! Beam element type
MP, EX, 1, 70E9 ! Young's modulus for Aluminum
MP, PRXY, 1, 0.33 ! Poisson's ratio for Aluminum
! Beam 생성
A, 1, 0.0, 0.0 ! Beam의 두께 및 너비
RECT, 1, 2, 0.0, 0.0 ! Beam 생성
! Boundary Condition 설정
N, 1, 0, 0 ! 고정되는 끝점
N, 2, 0, 0 ! 외력을 받는 끝점
! Mechanical Load 설정
F, 2, FY, -1000 ! Y 방향으로 -1000N의 힘을 가함
! 해석 설정
SOLVE
FINISH
/SOLU
ANTYPE, 0 ! 정적 해석
DK, 1, ALL ! 해석을 위한 구간 증분 적용
TIME, 1 ! 시간 설정
SOLVE
! 결과 출력
/POST1
SET, LAST
PRNSOL, UY, 2 ! Y 방향의 변형 출력
PRNSOL, FY, 2 ! Y 방향의 힘 출력
! ANSYS APDL Thermal and Structural Analysis Example
/PREP7
! Geometry 및 Material 속성 설정
ET, 1, BEAM188 ! Beam element type
MP, EX, 1, 70E9 ! Young's modulus for Aluminum
MP, PRXY, 1, 0.33 ! Poisson's ratio for Aluminum
MP, DENS, 1, 2700 ! Density for Aluminum
! 열해석에서 사용되는 속성 설정
MP, KXX, 1, 200 ! 열 전도율 for Aluminum
MP, CP, 1, 900 ! 열용량 for Aluminum
MP, RHO, 1, 2700 ! 밀도 for Aluminum
! Beam 생성
A, 1, 0.0, 0.0 ! Beam의 두께 및 너비
RECT, 1, 2, 0.0, 0.0 ! Beam 생성
! Boundary Condition 설정
N, 1, 0, 0 ! 고정되는 끝점
N, 2, 0, 0 ! 외력을 받는 끝점
! Thermal Load 설정
D, 1, TEMP, 90 ! 끝점에 90도의 온도 적용
! Thermal 해석
SOLVE
FINISH
! 구조해석
/PREP7
! Beam 속성 재정의
MP, EX, 1, 70E9 ! Young's modulus for Aluminum
MP, PRXY, 1, 0.33 ! Poisson's ratio for Aluminum
! Mechanical Load 설정
F, 2, FY, -1000 ! Y 방향으로 -1000N의 힘을 가함
! 해석 설정
SOLVE
FINISH
/SOLU
ANTYPE, 0 ! 정적 해석
DK, 1, ALL ! 해석을 위한 구간 증분 적용
TIME, 1 ! 시간 설정
SOLVE
! 결과 출력
/POST1
SET, LAST
PRNSOL, UY, 2 ! Y 방향의 변형 출력
PRNSOL, FY, 2 ! Y 방향의 힘 출력
글을 쓴 목적은 아바타 내용에 대한 스포가 아닌, 관람 꿀 팁을 올리려고 합니다. (겨울철에 3D안경을 착용하고 보는 영화에 동일하게 적용 됩니다.)
3D로 또한 최고 상영관에서 보세요.
저는 IMAX 3D로 관람 했는데, 제대로 즐기려면 무조건 좋은 상영관에서 관람해야 합니다. 3D로 보면 멀미가 오시는 분도 있다고 들었는데.. 좋은 상영관에서 보면 멀미.. 이런거 없습니다.
개인적으로 IMAX관 또는 메가박스의 M2관에서 보는 것을 추천하며 좋은 자리를 예매해서 보시기를 바랍니다.
왜서 돈내고 영화관에서 관람하는지 이해가 가실 것입니다.
안경닦이를 꼭 가지고 가세요 - 김서리방지 안경닦이 강추
이 내용이 핵심입니다.
안경을 착용해야 하는 3D 영화는 어쩔 수 없이 안경을 착용해야 하는데, 안경에 지문이 있거나 오염물이 있으면 최악입니다. (평소에 안경을 착용하시는 분은 이해 하실 것입니다.) 비싼돈을 주고 보는데... 안경 때문에 화면이 흐릿하다니.. 받아들릴수가 없죠. 사실 이정도는 옷으로 대충 닦아도 피해갈 수 있습니다.
그러나 지금은 코로나 시대라, 마스크까지 하고 봐야하기 때문에 더 큰 문제입니다. 상영관 온도가 좀 낮을 시 마스크하고 3D 안경 쓰면 숨실때마다 안경에 서리가 앉게 됩니다. ㅜㅜ.. 내 돈..... 내 눈.....
안 그러시는 분도 있긴 한데, 저는 자리에 앉아서 광고를 보는데, 눈앞에 안개가 돌았습니다. 부랴부랴 상영관을 뛸쳐나와 차에가서 김서림방지 안경닦이를 가지러 갔습니다. (참 다행 이죠...)
특히, 평소에 안경을 착용하지 않는 분은 안경에 서리가 내린다는 뜻을 이해 못하실것 같아서 글을 올립니다. 최소한 안경닦이를 가지고 가세요~